4.7.2 지진 시 외적안정해석
(1) 지진 시 외적안정해석에는 이 기준의 4.5에서와 동일하게 다음의 사항을 검토한다.
① 저면활동에 대한 검토
② 전도에 대한 검토
③ 지지력에 대한 검토
④ 전체안정성에 대한 검토
(2) 외적안정해석에서는 정적하중, 지진관성력, 동적토압의 1/2만 작용시켜 안정해석을 실시하며, 지진관성력은 토체의 중심에, 동적토압은 옹벽높이의 0.6에 작용시킨다.
(3) 외적안정해석에서 지진관성력은 관성력의 영향을 받는 보강토체의 자중과 지진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목차
- 지진 시 외적안정성 검토
- 지진 시 추가되는 하중
- 지진 시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 지진 시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
- 지진 시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
- 지진 시 전체 안정성 검토
- 마무리
지진 시 외적안정성 검토
지진 시 외적안정성 검토에서는 정적하중과 함께 지진 시추가되는 하중을 추가로 고려하여 저면활동, 전도, 지지력 및 전체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한다.
지진 시 추가되는 하중
지진 시 외적안정성의 검토에서는 정적 상태에서의 하중과 더불어 지진 시 추가되는 보강토체의 관성력(
지진관성력(
동적토압증가분은 Mononobe-Okabe의 의사정적해석에 의한 동적토압에서 정적토압을 제외하여 계산하며, 동적토압에 작용하는 높이의 60% 즉,
여기서,
KD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서는 "동적토압은 옹벽높이의 0.6

지진 시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시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성은 다음 식과 같이 검토한다.
여기서,
지진 시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시 전도에 대한 안정성은 다음 식과 같이 검토한다.
여기서,
지진 시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시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은 다음 식과 같이 검토한다.
여기서,
지진 시 전체안정성 검토
지진 시 전체안정성 검토에서는 지진관성력을 고려하며, 지진관성력은 토체의 자중과 수평방향 지진가속도계수(
무보강 시 사면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재가 추가되는 경우 보강재의 효과를 고려한 사면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진 시 보강재의 효과를 고려한 사면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다음 식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마무리
지진 시 보강토옹벽의 외적안정성 검토는 평상 시 안정성 검토 시에 작용하는 하중에 더해서 보강토체의 지진관성력(
'보강토 옹벽 > 보강토옹벽의 지진 시 안정성 검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 시 내적안정성 검토 (0) | 2023.07.05 |
---|---|
보강토옹벽과 지진계수 (0) | 2023.07.03 |
지진 시 보강토옹벽에 작용하는 하중 (0) | 2023.06.30 |
내진설계 여부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