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3 지진 시 내적안정해석
(1) 지진 시의 내적안정해석은 지진관성력에 의해 각각의 보강재에 추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보강재의 인장파괴와 인발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2) 내적안정해석에서 지진관성력은 활동영역의 자중과 지진계수를 곱하여 산정하고, 활동영역내의 각각의 보강재가 차지하는 면적비율로 지진관성력을 분담하는 것으로 한다.
(3) 지진 시 내적안정해석은 각각의 보강재 위치에서 지진에 의해 추가되는 인장력을 고려하여 정적상태와 동일하게 계산한다.
목차
- 지진 시 내적안정성 검토
- 지진 시 보강재에 작용하는 하중
- 내적안정성 검토 시의 지진관성력(
) - 지진 시 보강재 파단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 지진 시 보강재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 마무리
지진 시 내적안정검 검토
지진 시 보강재에 작용하는 하중은 정적안정해석에서 계산한 보강재의 최대유발인장력(
지진 시 보강재에 작용하는 하중
지진 시 보강재에 작용하는 하중은 정적하중에 의한 최대유발인장력(
1. 정적하중에 의한 최대유발인장력( )
지진 시 정적하중에 의해 보강재에 작용하는 최대유발인장력(
여기서,
2. 지진관성력에 의하여 각 층별 보강재에 추가되는 하중( )
활동영역의 지진관성력(
여기서,
내적안정성 검토 시의 지진관성력( )
지진 시 보강토체의 활동영역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진관성력(
여기서,

지진 시 보강재 파단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시 보강재 파단파괴에 대한 안정성은 다음 식 (6)과 같이 계산한다.
여기서,
KD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 따르면, "보강재의 장기설계인장강도(
보강재 종류 | 안전율 |
강재 띠형 보강재 | 1.82 |
강재 그리드형 보강재 | 2.08 |
토목섬유 보강재 | 1.50 |
상용 보강토옹벽 구조계산 프로그램에서는 보강재의 장기인장강도(
금속성 보강재의 경우에는 위의 식(8)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토목섬유 보강재의 경우에는 보강재의 내구성(
따라서 토목섬유 보강재의 경우 장기간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정적하중(
정적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에 대해서 필요한 보강재 인장강도는
여기서,
지진 시 추가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에 대해서 필요한 보강재 인장강도는
여기서,
그러므로, 지진 시 필요한 보강재의 극한인장강도는
식 (11)의 양변을 감소계수(
한편, 토목섬유 보강재의 장기인장강도(
식 (12)를 식 (11)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여기서,
지진 시 보강재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발생 시 지진동으로 인하여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락저항력이 감소하므로, 정적안정성 검토 시 사용하는 인발저항계수(
여기서,
(비신장성보강재 : 1.0, 지오그리드 : 0.8, 신상성 쉬트 : 0.6)
마무리
지진 시 내적안정성 검토에서는 정적하중(
지진 시 활동영역의 관성력에 의하여 추가되는 하중은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작용하는 하중으로, 토목섬유 보강재의 경우 장기 지속하중에 대한 크리프 감소계수의 영향을 배제하여야 한다.
지진 시 인발저항력은 정적안정성 검토 시의 인발저항력을 80%로 감소시켜 적용한다.
'보강토 옹벽 > 보강토옹벽의 지진 시 안정성 검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 시 외적안정성 검토 (0) | 2023.07.05 |
---|---|
보강토옹벽과 지진계수 (0) | 2023.07.03 |
지진 시 보강토옹벽에 작용하는 하중 (0) | 2023.06.30 |
내진설계 여부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