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 따르면
(1) 지진 시 보강토옹벽의 안정해석에서 고려하는 하중은 정적상태에서 작용하는 하중과 지진에 의해 작용하는 지진관성력 및 동적토압이며, 일시적인 상재하중은 고려하지 않는다.
(2) 지진관성력은 보강된 토체의 중량에 의해 작용하는 지진하중이며, 토체의 자중과 수평지진계수를 곱하여 산정하고 보강토체의 도심에 수평으로 작용시킨다.
(3) 동적토압은 보강된 토체 뒷부분의 파괴쐐기에 의해 보강토체에 작용하는 토압이며 파괴흙쐐기의 자중과 수평지진계수를 곱하여 산정한 토압이며 Mononobe-Okabe(유사정적해석법)의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목차
- 외적안정성 검토 시
- 외적안정성 검토 시의 지진관성력
- 동적토압 증가분
- 내적안정성 검토 시
- 내적안정성 검토 시의 지진관성력
- 지진 시 증가되는 보강재 하중
외적안정성 검토 시
지진 시 보강토옹벽에는 정적하중에 더하여 지진관성력과 동적토압이 추가로 작용한다.

외적안정성 검토 시의 지진관성력
보강토옹벽의 지진관성력은, 보강토옹벽 전체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 1.에서와 같이 보강토체 중 일부 즉, 0.5
보강토옹벽의 지진관성력은 다음 식과 같이 계산한다.
여기서,
여기서 최대지반가속도계수
동적토압 증가분
지진 시 보강토 옹벽의 관성력의 영향을 받는 부분의 배면에는 동적토압이 추가로 작용하며, 동적토압 증가분(
지진 시 동적주동토압은 Mononobe-Okabe의 공식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여기서,
(horizontal and vertical seismic acceleration coefficient)
일반적으로 Mononobe-Okabe의 동적주동토압계수(
내적안정성 검토 시
지진 시 보강재에 작용하는 하중은 정적작용력(
내적안정성 검토 시 지진관성력은 보강토 옹벽의 활동영역에 내해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내적안정성 검토 시의 지진관성력
지진으로 인해 보강토체의 활동영역에 작용하는 지진관성력(
여기서,
지진 시 보강재에 추가되는 하중
활동영역의 지진관성력에 의해 각 위치의 보강재에 추가되는 인장력(
여기서,
마무리
지진 시 보강토 옹벽에는 정적하중에 더하여 보강토체의 지진관성력과 동적토압 증가분이 추가로 작용한다. 보강토체의 지진관성력은
지진 시 내적안정성 검토에서는 보강토체의 활동영역에 작용하는 지진관성력을 보강재 유효길이의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각 층별 보강재에 동적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보강토 옹벽 > 보강토옹벽의 지진 시 안정성 검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 시 내적안정성 검토 (0) | 2023.07.05 |
---|---|
지진 시 외적안정성 검토 (0) | 2023.07.05 |
보강토옹벽과 지진계수 (0) | 2023.07.03 |
내진설계 여부 (0)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