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강토 전문가 / 보강토옹벽 설계 및 기술지원

Eternal & Stable Earth Structures

보강토박사의 티스토리

분류 전체보기 31

보강토옹벽 설계기준

보강토옹벽의 설계는 국가건설기준인 KDS 11 80 10 보강토옹벽의 설계법을 따라야 한다. 목차 보강토옹벽 설계기준 국가건설기준 KDS 11 80 10 : 보강토옹벽 과거 설계계기준 설계편람 지침 외국의 보강토옹벽 설계기준 보강토옹벽 설계기준 현재 보강토옹벽의 설계는 국가건설기준인 KDS 11 80 10 보강토옹벽의 설계법을 따라야 한다. KDS 11 80 10 : 보강토옹벽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건설공사 보강토 옹벽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잠정지침(국토해양부, 2013) 제정되었으나, 잠정지침 역시 실무자가 설계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으며, 자세한 사항은 미국의 FHWA지침 (FHWA-NHI-00-043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s and Rei..

차량충돌하중에 대한 안정성 검토

보강토옹벽 상부에 차량방호벽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보강토옹벽 설계 시, 방호벽에 작용하는 차량충돌하중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건설공사 보강토 옹벽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잠정지침(국토해양부, 2013)에서는 차량 충돌하중에 대한 검토방법이 불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어, 이 글에서는 차량충돌하중에 대한 검토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목차 보강토옹벽 상부의 차량방호벽 차량충돌하중에 대한 검토와 관련한 기준 차량충돌하중 차량충돌하중에 대한 안정성 검토 가드레일 지주 마무리 보강토옹벽 상부의 차량방호벽 보강토옹벽 상부가 도로인 경우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벽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방호벽은 L형 옹벽 형태 방호벽 기초 위에 설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L형 옹벽 높이 만큼의 성토하중를 등분포..

보강토옹벽의 블록 속,뒤채움

KC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서는 전면벽체 배면으로부터 최소 30cm까지 자갈 배수/필터층을 설치하고, 블록의 내부 및 블록과 블록 사이의 공간에느 ㄴ명시된 속채움재료를 밀실하게 채워넣도록 규정하고 있다. 3.3.5 뒤채움 다짐 및 블록 속채움 (1) 뒤채움 다짐 ⑦ 전면벽체 배면으로부터 최소 30cm 까지는 자갈 배수/필터층을 설치하고, 전면벽체와 보강재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주의한다. (3) 블록속채움 ① 블록 한단쌓기가 완료되면 블록의 내부 및 블록과 블록 사이의 공간에는 명시된 속채움재료를 밀실하게 채워 넣는다. 목차 블록 속,뒤채움 블록 속,뒤채움의 필요성 블록 속,뒤채움 재료 기준 블록 속,뒤채움의 역할 마무리 블록 속,뒤채움 보강토옹벽에 전면벽체로는 콘크리트 패널이나..

보강토옹벽의 배부름

보강토옹벽은 흙과 보강재 사이의 결속력에 의하여 일체화된 보강토체가 배면토압에 작용하는 일종의 중력식 옹벽으로, RC옹벽과 같은 강체가 아닌 흙구조물로 하중을 받으면 보강토체 자체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하고 배면토압에 의하여 수평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토옹벽에서 변형의 발생은 불가피하며, 대표적인 변형형태가 배부름 이다. 목차 보강토옹벽의 변형보강토옹벽의 변형발생 양상보강토옹벽에 과도한 변형이 발생한 사례보강토옹벽의 과도한 변형발생 원인보강토옹벽 수평변형(수직선형 오차)의 허용치마무리 보강토옹벽의 변형보강토옹벽은 보강재에 의하여 결속된 보강토체가 배면토압에 저항하는 흙구조물로서, 보강토체가 하중을 받으면 이에 저항하기 위해서 변형이 발생한다. 보강토옹벽의 대표적인 변형발생 양상은 그림 1...

흙-보강재 상호작용

보강토옹벽의 예상 파괴 형태는 흙/보강재 접촉면을 따른 미끄러짐 파괴와 저항영역 내의 보강재가 뽑혀나오는 인발파괴의 형태가 있으며, 흙/보강재 상호작용은 접촉면 마찰계수, $\mu_{ds}$와 인발저항계수 $F^*$로 나타낼 수 있다. 목차 흙-보강재 상호작용 흙/보강재 접촉면 미끄러짐 파괴 시의 상호작용 인발파괴에 의한 상호작용 마무리 흙-보강재 상호작용 보강토 공법을 응용한 보강토옹벽은 보강토체를 일체로된 구조물로 보아 배면토압에 저항하는 일종의 중력식 옹벽 이다. 보강토체가 일체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보강토체 내부에서 보강재가 파단되거나 인발되지 않아야 한다. 보강토옹벽에서 예상되는 파괴 형태는 다음 그림 1.에서와 같다. 그림 1.의 "A"부분은 가상파괴면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보테로부터 분리될 때 ..

보강토 2023.07.07

보강토옹벽 뒤채움재료

보강토옹벽은 성토체 내부에 포설된 보강재에 의하여 일체화된 보강토체(옹벽)가 배면토압에 저항하는 일종의 중력식 옹벽 이다. 따라서 보강토옹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보강토체가 일체로 작용하는 것이며, 보강토체가 일체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흙과 보강재 사이의 결속력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보강토옹벽에서 뒤채움재는 선별된 양질의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KD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서는 3.1.3 뒤채움재료 (1) 뒤채움재료는 KCS 11 80 10 (2.1.3)을 따른다. (2) 보강토옹벽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검토하는 경우 뒤채움 흙의 전단강도정수는 유효전단강도정수($c'$, $\phi'$)를 사용한다. KC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서는 2.1.3 뒤채움재료 (1..

지진 시 내적안정성 검토

KD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서 4.7.3 지진 시 내적안정해석 (1) 지진 시의 내적안정해석은 지진관성력에 의해 각각의 보강재에 추가되는 하중에 대하여 보강재의 인장파괴와 인발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2) 내적안정해석에서 지진관성력은 활동영역의 자중과 지진계수를 곱하여 산정하고, 활동영역내의 각각의 보강재가 차지하는 면적비율로 지진관성력을 분담하는 것으로 한다. (3) 지진 시 내적안정해석은 각각의 보강재 위치에서 지진에 의해 추가되는 인장력을 고려하여 정적상태와 동일하게 계산한다. 목차 지진 시 내적안정성 검토 지진 시 보강재에 작용하는 하중 내적안정성 검토 시의 지진관성력($P_I$) 지진 시 보강재 파단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시 보강재 인발파괴에 대한 안정성 검토 ..

지진 시 외적안정성 검토

KD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서 4.7.2 지진 시 외적안정해석 (1) 지진 시 외적안정해석에는 이 기준의 4.5에서와 동일하게 다음의 사항을 검토한다. ① 저면활동에 대한 검토 ② 전도에 대한 검토 ③ 지지력에 대한 검토 ④ 전체안정성에 대한 검토 (2) 외적안정해석에서는 정적하중, 지진관성력, 동적토압의 1/2만 작용시켜 안정해석을 실시하며, 지진관성력은 토체의 중심에, 동적토압은 옹벽높이의 0.6$H$에 작용시킨다. (3) 외적안정해석에서 지진관성력은 관성력의 영향을 받는 보강토체의 자중과 지진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목차 지진 시 외적안정성 검토 지진 시 추가되는 하중 지진 시 저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시 전도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시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 지진..

보강토옹벽과 지진계수

보강토옹벽의 지진 시 안정성 검토는 지진에 의해 추가되는 하중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이 때 지진에 의해 추가되는 하중은 보강토체의 지진관성력($P_{IR}$)과 동적토압증가분($\Delta P_{AE}$)의 50% 이다. 보강토체의 지진관성력은 지진관성력의 영향을 받는 보강토체의 질량($M$)과 보강토체의 최대지진계수($A_m$)을 곱하여 평가하며, 동적토압증가분의 계산에 필요한 Mononobe-Okabe의 지진 시 토압계수($K_{AE}$)의 계산에는 수평방향 지진가속도계수($k_h$)가 필요하다. 여기서는 보강토옹벽의 지진 시 안정성 검토에 사용되는 지진계수에 대해 생각해 본다. 목차 보강토옹벽과 지진계수 최대지반가속도계수($A$) 보강토체의 최대지진계수($A_m$) 수평방향 지진가속도계수($k_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