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강토 전문가 / 보강토옹벽 설계 및 기술지원

Eternal & Stable Earth Structures

보강토박사의 티스토리

곡선부 3

보강토옹벽에서 보강재(지오그리드) 설치 방법

이번 글에서는 보강토옹벽에서 보강재 설치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목차 보강토옹벽에서 보강재 보강재의 설치방법 곡선부에서 지오그리드 설치방법 우각부/코너부에서 지오그리드 설치방법 마무리 보강토옹벽에서 보강재 원래 인장에 대한 저항력이 없는 흙 속에 흙과의 결속력이 우수하고 인장강도가 큰 보강재를 삽입하면 전단강도가 개선된 새로운 토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보강토라 한다. 이러한 보강토 공법을 옹벽 구조물에 적용하면, 보강재에 의하여 일체화 된 보강토체가 중력식 옹벽의 역할을 하며, 이를 보강토 옹벽이라 한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보강재 이며, 보강토 옹벽에 사용하는 보강재는 재질별로는 금속성 보강재와 토목섬유 보강재가 있으며, 형상별로는 띠형, 그리드형, 전면포설형 ..

내진설계 여부

내진설계 여부 KD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에 따르면 일정규모 이상의 중요도가 있는 경우 또는 보강토옹벽의 상부나 하부에 파괴로 인한 피해 범위 내에 가옥이나 고정시설물이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지진 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한다. 보강토옹벽은 그 유연성 때문에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보강토 옹벽의 경우라도 그 규모가 커서 파괴 시 복구가 어렵거나, 옹벽자체의 파괴로 인하여 주변 고정시설물의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내진해석을 수행하여 안정성을 검토하고 그에 따라 보완할 필요가 있다. FHWA(2001) 지침인 FHWA-NHI-00-043에 따르면 최대지반가속도계수(max. ground acceleration coefficient) "$A$"가 0.05 이하인 경우에는 ..

KCS 11 80 10 : 2021 보강토옹벽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블록 혹은 패널 형태의 전면벽체와 금속 혹은 토목섬유 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옹벽의 재료 및 시공에 적용한다. 1.2 참고 기준 1.2.1 관련 법규 내용 없음 1.2.2 관련 기준 KCS 44 50 05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및 기층공사 KS F 2306 흙의 함수비 시험 방법 KS F 2311 현장에서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시험 방법 KS F 2312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43 압밀 배수 조건 아래서 흙의 직접 전단 시험 방법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KS F 2422 콘크리트 코어 및 보의 시료 절취 및 강도 시험방법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KS F 4416 콘크리트 적층 블록 KS F 441..